15년 넘은 청약통장이 납입이 거의 없어도 유리한 이유와, 새로 만들 수 없는 조건을 놓치지 않는 방법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지금이라도 다시 납입하면 됩니다
2010년에 만들어진 주택청약통장이 있다는 사실을 최근에야 알게 되셨다면 놀랄 수밖에 없습니다.
더군다나 그동안 단 한 번, 2만 원만 납입하고 방치됐던 계좌라면 더더욱요.
하지만 이 청약통장은 절대 해지하시면 안 됩니다.
왜냐하면 "가입기간"이라는 조건이 청약 가점제에서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가입기간 15년, 청약에서 얼마나 중요한가?
아파트 청약의 가점제 항목 중 하나가 바로 '청약통장 가입기간'입니다.
이 항목은 15년 이상이면 최대 가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청약 가점제 기준
- 가입기간 15년 이상 → 17점 만점
- 무주택기간, 부양가족 수와 함께 합산됨
- 재가입은 의미 없음
- 주택청약종합저축은 1인 1계좌
- 해지하고 새로 만들면 가입기간 0일부터 다시 시작
- 심지어 소액 납입도 인정
- 매달 10만 원 미만 소액 납입도 유효
- 중요한 건 꾸준함보다 '가입기간' 자체
KB청년주택드림통장, 청약통장이 아닙니다
KB청년주택드림통장은 이름에 '주택'이 들어가 있어서 헷갈리기 쉽습니다.
하지만 이 통장은 청약에 직접 활용되는 통장이 아닙니다.
- 지원 목적 통장: 청년의 주거 안정을 위한 목돈 마련용
- 청약 가점에 영향 없음: 청약 신청 시 사용 불가
- 병행 가능: 기존 주택청약통장을 유지하며 따로 가입해도 문제 없음
즉, 청약을 목표로 한다면 기존 우리은행 주택청약종합저축만 활용하셔야 합니다.
지금부터 해야 할 3가지
이 계좌를 어떻게 활용할지 명확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① 기존 주택청약종합저축 유지
해지하지 마시고, 그대로 유지하세요.
② 납입 재개
한 달에 2만 원이라도 좋습니다. 가점제 외에도 추첨제 기준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③ KB청년주택드림통장은 별도로 가입
청약 목적이 아니라면 병행해서 목돈 마련용으로 활용 가능합니다.
주택청약 오래된 계좌 관련 많이 하는 질문들
주택청약 납입 안 했는데 가입기간 인정되나요?
네. 납입보다 가입기간 자체가 더 중요합니다.
15년 된 계좌를 해지하고 새로 만들면 가점 리셋되나요?
맞습니다. 해지하면 가입기간 0일로 초기화됩니다.
KB청년주택드림통장만으로 청약할 수 있나요?
아니요. 이 통장은 청약과 무관합니다.
기존 청약통장에 매달 꼭 10만 원씩 넣어야 하나요?
아닙니다. 소액도 납입횟수로 인정됩니다.
청약통장 잔액이 적으면 불리한가요?
가점제엔 영향 없습니다. 추첨제에서 일부 영향은 있을 수 있습니다.
핵심만 딱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기존 청약통장이 있다면 무조건 유지.
15년이라는 가입기간은 절대적인 경쟁력.
새 통장 만들지 말고 납입만 재개하세요.
2025.05.04 - [* 청약 정보 *] - 청약 당첨 되려면 실거주 필수? 무상거주도 인정받는 방법
청약 당첨 되려면 실거주 필수? 무상거주도 인정받는 방법
청약 신청 시 거주기간 인정 여부는 당첨을 좌우할 수 있습니다.단순히 해당 지역에 오래 있었다고 해서 무조건 인정되는 것이 아니며,실거주 여부와 주민등록지 일치가 핵심 요건입니다.실거
cc.it4989.co.kr
2025.05.03 - [* 청약 정보 *] - 무자본 청약 당첨 후 자금 계획 없으면 생기는 일
무자본 청약 당첨 후 자금 계획 없으면 생기는 일
무자본으로 용인 원클러스터 청약에 당첨된 경우, 중도금·잔금 부담과 대출 현실까지 반드시 고려해야 후회 없는 선택이 됩니다.실거주 청약, 당첨은 축복일까 부담일까청약은 인생의 전환점
cc.it4989.co.kr
'* 경제 정보 * > 부동산·전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은행 청약예금, 종합저축으로 바꾸는 법 알려드립니다 (0) | 2025.05.06 |
---|---|
청약통장 납입 최소금액으로 회차 손해 없이 관리하기 (0) | 2025.05.05 |
공공분양 소득산정 기준, 일용직과 프리랜서도 청약 가능할까? (0) | 2025.05.04 |
청약 당첨 되려면 실거주 필수? 무상거주도 인정받는 방법 (0) | 2025.05.04 |
서울청약 전입신고만 하면 될까? 위장전입 주의 (3) | 2025.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