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 후 필요한 건 축하보다 실속이죠. 첫만남이용권은 그런 면에서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지원인데요. 2024년부터 금액도 올라가고 사용처도 다양해져서 놓치면 아까운 혜택이에요.
“첫만남이용권” 사용처부터 신청까지, 이렇게 하면 됩니다
아기 낳고 정신없는데 복잡한 지원금 정보까지 챙기려니 머리가 지끈거리죠.
신청은 언제 해야 할지, 어디서 쓸 수 있을지, 잘못하면 놓치는 건 아닐지 불안해지기도 하고요.
게다가 제도가 매년 바뀌다 보니, 예전 정보를 그대로 믿었다가 당황하는 경우도 많더라고요.
출처 : 유튜브 꾸바루TV
이런 분들 많죠
"애기 돌 전에 꼭 써야 한다고 들었는데, 어떻게 확인하는 거지?"
"분명 신청했는데 문자도 안 오고... 어디에 얼마 남은 건지도 모르겠고."
"조리원에서도 쓸 수 있다던데 진짜야?"
저도 첫아이 낳고 정신없을 때, 이 바우처 챙기는 게 정말 큰 도움이 되었어요.
이왕 받는 거, 알차게 쓰는 게 중요하잖아요.
2024년 첫만남이용권, 이렇게 달라졌어요
지원 대상은?
-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모든 아이
- 소득 상관없이 누구나
- 출생신고 완료된 아기라면 자동 대상
"태어나줘서 고마워"라는 의미로 도입된 제도예요.
얼마를 받을 수 있나요?
- 첫째 아기: 200만 원
- 둘째 아기: 300만 원
- 쌍둥이라면? 500만 원까지 지원돼요
올해부터 금액이 확 올랐어요. 특히 둘째 이상 가정에겐 꽤 든든한 혜택이에요.
신청 방법은 두 가지
1. 직접 방문 신청
- 출생신고하러 행정복지센터 가실 때 같이 신청하면 돼요.
2. 온라인 신청
- 정부24 또는 복지로 사이트에서
- 온라인 출생신고를 한 경우엔 연동돼서 바로 신청 가능해요
빠르면 일주일 안에 국민행복카드로 들어와요. 기존에 쓰던 카드로 자동 지급되니 따로 발급할 필요는 없어요.
어디에 쓸 수 있나요?
생각보다 훨씬 다양해요.
온라인 쇼핑몰
- 쿠팡, G마켓, 옥션, 위메프, 티몬, 네이버쇼핑 등
- 아기용품, 기저귀, 분유, 장난감 등 전부 가능해요
병원·의료기관
- 산부인과, 소아과, 한의원, 치과, 약국
- 산후마사지, 산후조리원에서도 사용 가능
일상 속 매장
- 식당, 카페, 주유소까지
- 배달앱(배민, 요기요, 땡겨요, 쿠팡이츠) 도 가능해요
한 가지 팁!
산후조리원에 있을 때 미리 온라인 신청하고 바로 결제하면 편하게 활용 가능해요.
사용 불가한 곳은?
- 대형마트 (2024년부터 제외)
- 상품권 구매, 공과금, 세금
- 금융/수수료/면세점
- 유흥/사행 업종, 성인용품, 마사지샵 등
실제로 결제 시 제한되는 품목들이 있어서, 사용 전에 체크는 필수예요.
잔액은 어떻게 확인할까요?
1.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홈페이지
- 회원가입 후 마이페이지에서 조회 가능
2. 국민행복카드 카드사 앱
- 카드사마다 조금씩 메뉴명이 달라요
3. 문자 또는 카카오 알림
- 지급되면 자동으로 문자 안내가 와요
잔액뿐 아니라 사용 기한도 함께 알려줘요.
출산 후 1년까지 사용 가능하니, 돌 전에 다 쓰는 걸 목표로 하시면 좋아요.
이렇게 쓰면 더 좋아요
- 육아용품은 쿠팡처럼 단가 높은 제품 위주로 정리해서 일괄 구매
- 산후조리원이나 산후마사지 비용으로 한번에 크게 활용
- 예방접종비, 병원 진료비도 알차게
한번에 결제하거나, 생활비 부담이 클 때 나눠 쓰면 체감되는 도움이 꽤 커요.
특히 초보 부모님들에겐 “출산 축하금” 이상의 든든함이 될 거예요.
아이 낳고 하루하루가 낯설고 정신없을 수 있어요.
그럴수록 실질적인 지원 하나라도 놓치지 않길 바라는 마음으로 정리해봤어요.
아직 신청 안 하셨다면 지금 바로 정부24나 복지로 들어가보세요.
이미 받으셨다면, 사용처와 잔액 체크 한 번 더 해보시길 추천드려요.
'* 생활 정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카다미아 까는법, 껍질 쉽게 벗기는 방법은? (0) | 2025.04.12 |
---|---|
피칸 호두 차이 한눈에! 효능까지 비교 정리 (0) | 2025.04.11 |
동탄 호수공원 리슈빌 아이키우기좋은 민간임대주택 정보 (0) | 2025.04.09 |
인테리어 시공순서 정리로 도배부터 마루까지 완벽하게 (0) | 2025.04.08 |
자동차 매도용 인감증명서 발급부터 제출까지 한눈에 정리 (0) | 2025.04.05 |